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소리 없는 첩보전이 펼쳐 좋구만
    카테고리 없음 2020. 1. 19. 21:59

    >


    밤 어두운 거리의 매일을 바라보면 밝은 빛을 내는 물체가 있습니다. 특히 밝게 빛의 와인은 반짝임을 보고, 별인지 인공위성인지 문재를 가지고 오신 적이 있으실 텐데요, 한 위치에서 지속적으로 반짝이면 별, 빠른 속도로 이동하면 인공위성이라고 하네요. 인공위성은 지구에서 발사체를 통해 발사되며 대기권 밖에서 지구 주위를 궤도로 하여 계속 돌아갑니다.


    인류 최초의 인공 위성은 구소련에서 한 957년 0월 일 4일 발사한 스푸트니크 일호다. 당시는 우주에 인공위성을 쏘아올렸다는 것만으로도 충격이었기 때문에 위성의 용도가 나쁘고 목적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습니다.일 970년대 후반에야 각 국의 우주 경쟁이 본격화되고 기술이 발달하고 사용 목적으로 수행할 각기 다른 인공 위성이 발사되기 시작했죠.인공위성은 용도에 따라 과학 및 연구용 과학위성, 통신·방송‧기상·해양관측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실용위성, 첩보 등에 사용되는 군사위성으로 분류됩니다.


    >


    우선 과학위성은 태양계와 우주공간의 환경을 관측하고 실험을 실시할 것이다. 최초의 인공 위성 스푸트니크 1호도 지구의 대기 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비가 탑재되는 과학 위성입니다. 특히 90년대 이후에는 과학 위성이 우주 실험 진짜로 이용되곤 하는데, 세계 17개국 컨소시엄에서 운영하는 국제 우주 스테이션(International Space Station)이 그 예입니다.역시 실용위성은 인류의 생할을 편리하게 하고, 보다 자신은 생을 영위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대륙간 대륙과 해양간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위성'...TV프로그램 신호를 하달하다 '방송위성', 구름분포 자기기압배치 등을 관측해 기상데이터를 공급하는 '기상위성' 등이 전체 이에 해당될 것이다.마지막으로 군사위성은 정찰, 통신, 경보, 항해 등의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그 역할에서 정찰위성이라고도 불립니다. 적의 상공에서 사진을 촬영하여 상대방의 미사일 발사를 탐지하는 정찰위성, 조기경보위성, 도청위성 등이 이에 속한다.


    >


    실제로 군사 목적의 위성 개발은 인공위성의 비약적인 발전을 견인해 왔습니다. 인류 최초의 위성도 했던 냉전 시대 소련과 오메리카의 대륙 간 탄도 미사 1로켓 개발 과정에서 자국의 군사적 경쟁력을 과시하기 위해서 발사한 것 이프니다니다. 다음번에도 미국이나 러시아 등의 인공위성 강국들은 수백개에 달하는 정찰위성을 지구 상공에 쏘아 올려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어느 정도 국력을 가진 과인이기 때문에 대부분 정찰위성을 쏘아 올리고 있는 요즘 귀추는 sound 없는 전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 과나 다름없습니다.정찰 위성은 고도 만 6천킬로의 정지 궤도에 떠는 방송 위성 과학의 통신 위성과 달리 수백킬로 높이의 지구 근처에서 지상의 물체다 입니까를 탐지합니다. 어디서 누가 무엇을 어떻게 하는지 알아내기 위해서는 가능한 고도가 낮아야 하기 때문입니다.간혹 원래 궤도에서 우어과인 지구 근처로 내려오기도 합니다. 1예로 오메리카 정찰 위성 중에는 600㎞고도에 있어서 목표가 하고 지상 200~300킬로액으로, 내려와서 목표 지점의 영상을 촬영하고 다시 방으로 올라가는 것도 있습니다.


    >


    특히, 한국을 둘러싼 주변국의 정찰위성을 활용한 정보수집이 치열합니다. 미국은 최고 광학 카메라를 사용하여 최초의 0㎝크기의 물체까지 정밀하게 식별하는 정찰 위성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해상도의 첫 0센치 면 남자와 여자를 구별하고, 자동차 번호판도 읽을 수 있는 수준입니다. 북한에서 진행되고 있는 군수물자의 이동과 미사일의 첫 동향을 미국이 알 수 있는 것도 이런 정찰위성 덕분입니다.또 러시아는 최대 해상도가 30㎝인 고성능 정찰 정찰 위성으로 세계를 보고 있습니다. 중국은 사실상 정찰 및 첩보 위성으로 알려진 야오 간 계열의 위성을 60기 가량 운용하고 있는 것이 알려지고 있습니다. 이외에 저팬은 고성능 디지털 카메라를 장착한 광학-6호기를 비롯한 최초의 0여기의 정찰 위성이나 해상도 30센치 급의 정찰 능력으로 적의 동향을 감시하고 있습니다.이와 같이, 정찰위성이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정세입니다만, 각국은 그에 관한 언급 자체를 꺼리고 있습니다. 또, 정찰위성은 자국의 로켓에 실어 자국의 우주 센터에서만 발사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나라에서는 그 실태를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상대방의 정보를 확보하고 군사적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그야말로 소리 없는 우주 정보전을 펼치고 있는 것입니다.


    사실 우리 행정부는 선진국에 비해 인공위성에 대한 도전이 느린 편입니다. 1992년 8월 111대한민국 최초의 인공 위성인 우리별 1호가 남미국후랑스령 기아나의 쿠루에 위치한 기아나 우주 센터에서 발사되었습니다. 우리별 1호는 지구의 표면 촬영, 음성 자료와 영상 정보 교신 등이 가능했지만 해상도 4킬로의 카메라가 장착되었습니다.


    >


    가장 최근에 발사된 인공 위성은 2015년 3월 26일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서 발사된 아리랑 3A호이다. 아리랑 3A호는 한국 항공 우주 연구원 2006년부터 8년간 개발한 55㎝급 해상도의 전자 광학 카메라와 적외선 센서를 탑재하고 있습니다.한 걸음 지나가고 있는 만큼, 국내 기술로 개발한 다양한 위성이 국내 기술로 발사되어 우주를 날아다니게 되는 날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